2025년부터 출산전후휴가와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급여가 확대됩니다!
❶ 출산전후휴가 확대 ('25. 2. 23.~)
- 출산 전·후 휴가 90일 부여
- 급여지원 중소기업 90일→100일
대규모기업 30일→40일
❷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25. 2. 23.~)
- 배우자 출산휴가 10일→20일 부여
- 급여지원 5일→20일
육아지원 3법*이 개정됨에 따라 올해부터 일과 육아를 병행하도록 돕는 여러 제도들이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고용노동법」, 「근로기준법」
이전 포스팅에서는 <임신기>를 주제로,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과 난임치료휴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및 난임치료휴가
2025년부터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과 '난임치료휴가'가 확대됩니다!❶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25.2.23.~) 임신 후 12주 이내, 36주→32주 이후 1일 최대 2시간 근로시간 단축 ❷ 난임치료휴가('2
treasure01.tistory.com
이번 포스팅은 <출산기> 편입니다!
2025년부터 확대되는 출산전후휴가와 배우자 출산휴가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2025년 확! 달라지는 육아지원제도, <출산기> 편 쉽고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❶ 출산전후휴가
출산전후휴가 90일 부여
급여지원 중소기업 100일,
대규모기업 40일
출산전후휴가는 출산 전·후 산모의 안전과 원활한 회복을 위해 90일의 휴가와 급여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2월 23일부터 미숙아 출산 시 출산전후휴가가 100일(기존: 90일)로 확대되며 11주 이내 유산·사산 시10일(기존: 5일)의 유산·사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휴가기간 중소기업은 100일, 대규모 기업은 40일간 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기존: 중소기업 90일, 대규모기업 30일)
[지원대상]
✔ 출산을 앞둔 임신 중의 근로자
[지원내용]
✔ 출산 전·후에 휴가 90~120일 부여
✔ 유산, 사산한 경우에도 유산·사산휴가 부여
- 11주 이내 유산·사산 시 10일 휴가 부여
- 임신 기간에 따라 최대 90일 휴가 부여
- 출산전후휴가와 동일한 기준으로 급여 지급
✔ 출산전후휴가(유산·사산휴가) 중 급여 지원
- 출산전후휴가 기간 통상임금에 해당하는 금액
👉 중소기업 100일, 대규모기업 40일 지원
- 고용24 출산전후휴가 급여 모의계산 ▽
고용정책
초기화 계산 신청 통상임금 총액 3,000,000원 총 지급금액 0원 처리된 산전후 휴가 부여기간 2023-02-15~2023-02-28 출산전후휴가급여 지급가능 기간 2023-02-15~2023-02-28 [상한액(30일 기준) 2,100,000원]이고,
www.work24.go.kr
※ 출산전후(유산·사산)휴가급여 요건
- 출산전후(유산·사산)휴가를 부여받아 사용
-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 휴가 시작 이후 1개월부터 휴가 종료 후 12개월 내 신청
*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아닌 경우
예술인 출산급여, 노무제공자 출산급여 대상 여부 확인
[신청방법]
✔ 출산전후(유산·사산)휴가 사용
- 회사에 출산전후휴가 신청서와 임신 확인서 제출
- 출산 예정일 전 충분한 시간을 두고 알리기
- 유산·사산이라면 회사에 유산·사산휴가 신청서, 유산·사산 진단서 제출
✔ 출산전후(유산·사산)휴가급여 신청
- 고용24 누리집 또는 고용센터에 신청
- 30일 단위로도, 휴가가 끝난 후 한꺼번에 신청도 가능
- (온라인) 고용24 누리집 ▽
고용24_개인
m.work24.go.kr
- (방문) 거주지 또는 사업장 관할 고용센터 ▽
기관찾기
검색 테이블 지역구분 전체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인천광역시광주광역시대전광역시울산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제주특별자치도강
m.work24.go.kr
이것도 알고 가세요!
Q. 출산이 예정보다 늦어져서 출산 전에 45일 넘게 휴가를 썼다면?
👉 출산이 늦어져도 출산 후 45일 휴가 사용 가능합니다.
(단, 추가 휴가에 대한 임금 지급 의무 없음)
Q. 미숙아를 출산할 경우 휴가 기간이 늘어나는데, '미숙아'의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 '임신 37주 미만의 출생아로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신생아' 또는 '출생 시 체중이 2.5킬로그램 미만
인 영유아로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신생아'
❷ 배우자 출산휴가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부여
급여지원 20일(최대 약 160만 원)
배우자 출산휴가는
출산 후 산모와 신생아를 돌볼 수 있도록 일정 기간의 휴가와 급여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2월 23일부터 배우자 출산휴가와 휴가급여 기간 모두 20일로 늘어나며,
(기존: 배우자 출산휴가 10일, 급여지원 5일)
사용기한은 출산일로부터 120일(기존: 90일) 이내로 분할횟수는 3회(기존: 1회)로 확대됩니다.
[지원대상]
✔ 배우자의 출산을 이유로 휴가를 청구하는 근로자
[지원내용]
✔ 배우자 출산휴가 20일
- 출산일로부터 120일 이내 사용(휴가 종료)
- 최대 4번 나누어 사용 가능(분할횟수 3회)
✔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지원 20일(최대 약 160만 원)
-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통상임금에 해당하는 금액
※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요건
- 우선지원대상기업 소속 근로자
- 출산한 날로부터 90일 이내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
-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
- 휴가 시작 이후 1개월 부터 휴가 종료 후 12개월 내 신청
[신청방법]
✔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
- 회사에 배우자 출산휴가 신청서와 출산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제출
✔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신청
- 고용24 누리집 또는 고용센터에 신청
- 배우자 출산휴가가 끝난 후 한꺼번에 신청
- (온라인) 고용24 누리집 ▽
고용24_개인
m.work24.go.kr
- (방문) 거주지 또는 사업장 관할 고용센터 ▽
기관찾기
검색 테이블 지역구분 전체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인천광역시광주광역시대전광역시울산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제주특별자치도강
m.work24.go.kr
출산전후휴가와 배우자 출산휴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또는 고용24 누리집을 통해 문의해 주세요.
[문의]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 고용24 누리집 ▽
고용24_개인
www.work24.go.kr
본 포스팅은 복지로, 고용노동부 누리집과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고용노동부, 2025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24.12.31.)」 등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025년부터 달라지는 육아지원제도 중 출산전후휴가, 배우자 출산휴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육아 기간에 지원받을 수 있는 사용기간이 늘어난 육아휴직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출처: 대한민국정부 대표 블로그 정책공감]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육아휴직 기간 및 급여 [최대 1년 6개월, 월 최대 250만 원까지 확대] (0) | 2025.02.14 |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및 난임치료휴가 (0) | 2025.01.17 |
무릎인공관절 수술비 지원 [60세 이상 최대 120만 원] (0) | 2025.01.16 |
청년월세특별지원 [1년간 최대 240만 원(~'25.2.25.)] (0) | 2025.01.15 |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진료비 3,000만 원까지 상향] (0) | 2024.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