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13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 엽산·철분제, 산모수첩 등 한번에 신청!❶ 서비스 내용 산모수첩 발급, 엽산·철분제 지원, 국민행복카드 신청 가능, 고속열차 할인 등 임신 지원 서비스 통합 신청 ❷ 신청방법 정부24 누리집·앱 또는 주민센터 방문'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는 임신 후 받을 수 있는 임신지원 서비스를 한 번에 안내받고 편리하게 통합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새 생명이 찾아왔다는 기쁜 소식은 동시에 아이를 맞을 여러가지 준비를 생각하게 하는데요. 임신을 하면 여러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언제 어디서 신청해야할지 헷갈리기도 합니다. 이때,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임신지원 서비스를 한 곳에서 확인하고 통합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임신 지원을 빠짐없이 받을 수 있도.. 2025. 3. 28.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가임력 검사비용 지원]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예비 엄마, 아빠의 필수 가임력 검사비 지원❶ 지원대상 임신을 준비하는 부부 (사실혼, 예비부부 포함) ❷ 지원내용 여성 최대 13만 원, 남성 최대 5만원 가임력 검사비용 지원 ❸ 신청방법 보건소 방문 또는 e보건소 온라인 신청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난임을 예방하고 건강한 출산을 돕기 위해 임신을 희망하는 부부에게 가임력 검사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4년 4월부터 시행됐어요. 가임력 검사를 통해 미리미리 부부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임신·출산의 위험요인을 파악해 준비하실 수 있어요.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에 대해 쉽고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❶ 지원대상 임신을 준하는 부부 (사실혼, 예비부부 포함) 임신을 준비하는 부부라면 소득, 자산 등 관계없이.. 2024. 10. 30. 난임시술비 지원 [체외수정, 인공수정 최대 25회 지원] 난임시술비, 소득수준과 거주지역 상관없이 지원받으세요! ❶ 지원대상 건강보험에 가입했으며, 난임진단서를 발급받은 법적·사실혼* 상태의 부부 * 사실혼의 경우, 1년 이상 혼인관계를 유지했음을 증빙 ❷ 지원내용 - 체외수정, 인공수정 시술비 일부·전액본인부담금 90% - 비급여 3종(배아동결비, 유산방지제 및 착상보조제) ❸ 신청방법 난임진단서 발급 후 여성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또는 보조금24 등을 통한 온라인 신청 '난임시술비 지원'은 아이를 원하는 난임부부를 위해 체외수정, 인공수정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부부가 아이를 원함에도 불구하고 자연적인 임신이 어려울 때는 인공수정이나 시험관 등의 시술을 통해 임신을 준비하게 됩니다. 난임시술을 진행하게 되면 1회당 150만~400만.. 2024. 4. 19. 부모급여 인상 (1/1~ ) 1월 1일부터 부모급여를 인상합니다. 부모급여 상향 지급에 따라 출산과 양육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드립니다. [주요 내용] ◾ 부모급여 인상 ✔ 0세 아동 가구 - (기존) 월 70만 원 → (변경) 월 100만 원 ✔ 1세 아동 가구 - (기존) 월 35만 원 → (변경) 월 50만 원 * 8세 미만 아동에게 매달 지급하는 아동수당 10만 원은 별도로 지급 ✔ 부모급여 신청 방법 ◾ 부모급여 처음 신청 시 아동의 출생일을 포함한 60일 이내에 신청 - 생후 60일 이내 신청하면 출생일이 속한 달부터 지원 - 생후 60일 이후 신청하면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지원 👉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인 읍·면·동 주민센터 신청 ※ 부모가 방문 신청할 경우 주소지와 무관하게 전국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 ※.. 2024. 1. 8.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