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sue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

by treasure01 2025. 3. 28.
728x90
반응형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 엽산·철분제, 산모수첩 등 한번에 신청!

❶ 서비스 내용
산모수첩 발급, 엽산·철분제 지원, 국민행복카드 신청 가능, 고속열차 할인 등 
임신 지원 서비스 통합 신청
​❷ 신청방법

정부24 누리집·앱 또는 주민센터 방문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는 

임신 후 받을 수 있는 임신지원 서비스를 한 번에 안내받고 편리하게 통합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새 생명이 찾아왔다는 기쁜 소식은 동시에 아이를 맞을 여러가지 준비를 생각하게 하는데요. 
임신을 하면 여러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언제 어디서 신청해야할지  헷갈리기도 합니다.
이때,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임신지원 서비스를 한 곳에서 확인하고 통합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임신 지원을 빠짐없이 받을 수 있도록!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에 대해 쉽고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❶ 서비스 내용

임신지원 서비스 통합 신청 

*산모수첩 발급, 엽산·철분제 지원, 국민행복카드 신청 가능, 고속열차 할인

임신한 산모라면 누구나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임신지원 서비스를 한번에 신청할 수 있는데요. 
단, '청소년산모 의료비 지원'은 19세 이하 산모를 대상으로 하며, '에너지바우처'는 소득기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

임신 후 받을 수 있는 임신지원 서비스를 여러번 방문하거나 각각 따로 신청하지 않고 한 번에 안내받고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

[임신지원 서비스 내용]

① 표준모자보건수첩(산모수첩) 발급

✔ 지원대상

- 임신부 또는 출생 사실 확인된 영유아

* 구비서류 : 임신확인서

 

✔ 지원내용

- 임산부수첩 및 아기수첩 제공

- 임신-영유아기 의료기록 유지 및 예방접종, 검진 기록 

② 엽산·철분제 지원 

✔ 지원대상​

- 엽산제 : 임신 전후3개월인 산모

- 철분제 : 임신 16주 이상인 산모

* 구비서류 : 임신확인서

 

✔ 지원내용

- 엽산제 : 임신 전후3개월까지 엽산제 지원

- 철분제 : 임신 16주부터 철분제 5개월분 지원

③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국민행복카드)

✔ 지원대상

- 임신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 지원 내용

- 임신 1회당 100만원(단태아)

- 다태아 임신부의 경우 140만 원

* 분만취약지의 경우 20만원 추가지원

 

✔ 지원 범위

- 임신·출산(유산·사산 포함)과 관련하여 진료 및 약제·치료재료 구입에 드는 비용 

- 출생일부터 2년 이내의 영유아에 대한 진료 및 처방에 의한 약제·치료 재료 구입 비용

* 제외대상자 : (의료급여법)에 따라 의료급여를 받는자(수급권자), 건강보험 적용배제 신청자, 건강보험 자격상실자, 급여정지자

④ 고속열차 할인(KTX, SRT)

👉 맘편한 KTX

✔ 지원대상

- 임산부(동반1인 포함)
- 할인기간 : 출산예정일+1년까지

✔ 할인내용

- KTX 특/우등실 요금 면제(일반실 가격으로 제공)
- KTX일반실 운임 40% 할인
- 일반열차 운임 40% 할인

(새마을,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ITX청춘)

* 다른 할인과 중복 적용 없음, 동반인이 어린이, 동반유아일 경우 어린이, 동반유아 할인 적용, 최저운임 이하 할인 없음

* 코레일 멤버십 가입 후 멤버십 번호 필요

* 신청 당일 이용 불가

* 임산부 동행 없이 보호자 단독 승차 불가능

​👉 SRT 임산부 할인

✔ 지원대상

- 임산부 외 보호자 1명(보호자 단독 승차 불가능)

- 할인기간 : 출산(예정일) + 1년까지

✔ 할인내용

- 지정된 좌석 운임 30% 할인

* 특실 서비스요금은 할인하지 않고(운임만 할인) 최저운임 이하로는 할인하지 않음

* 다른 할인과 중복으로 적용하지 않음

* 에스알 멤버십 가입 후 멤버십 번호 필요

* 신청 당일 이용 불가

⑤ 산모 · 신생아 건강관리

✔ 지원 내용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가 일정 기간 출산 가정을 방문, 산후 관리 서비스 이용권(바우처) 지원

✔ 지원대상

-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합산액이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인 가정 

✔ 신청기간 

-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⑥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 지원내용​

- 임신 1회당 120만 원 범위 내

✔ 지원대상

- 만 19세 이하 산모

✔ 신청기한

- 임신확인서 상 임신확인일 기준으로 만 19세까지 신청 가능

⑦ 에너지 바우처 

✔ 지원 내용​

-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LPG, 연탄을 구입할 수 있는 바우처(이용권) 지급

✔ 지원대상​

- 임신중이거나 분만 후 6개월 미만인 여성

- 의료급여,생계급여, 의료·생계급여 수급 가구 

⑧ 지자체 개별 서비스

✔ 지원내용

- 임신축하선물, 임산부 주차증 등

* 지자체 서비스는 지자체별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상이할 수 있음.



​❷ 신청방법 

정부24 누리집을 통한 온라인 신청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 - 정부24 누리집에서 통합신청

 

정부24 누리집에서 임신지원 서비스를 한눈에 살펴보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 ​정부24 누리집 을 통한 온라인 신청·접수

✔ 관할 보건소·주민센터 방문을 통한 신청·접수

 

​- 정부24 누리집 원스톱 서비스 ▽

 

원스톱/생애주기/꾸러미 서비스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문의]

- 정부24 콜센터 ☎1588-2188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본 포스팅은 정부24 누리집과 행정안정부 보도자료 『10월의 추천 공공서비스 임신·출산 지원 서비스 한 번에 신청하고 청년문화예술패스로 다양한 문화공연 즐겨요('24.10.07')』 등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정부 대표 블로그 정책공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