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급여15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 인상! 609만 7,773원(4인가구 기준)❶ 기준 중위소득이란? '국민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 기준에 활용❷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인) 239만 2,013원 (2인) 393만 2,658원 (3인) 502만 5,353원 (4인) 609만 7,773원 (5인) 710만 8,192원 (6인) 806만 4,805원 '기준 중위소득'은 정부의 복지 지원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되는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6.42% 인상됐습니다. 맞춤형 급여 체계로 전환된 2015년 이후 역대 최대 수준으로 증가했습니다. *.. 2024. 7. 31. 사회보장급여 실거주지 신청 확대 [4/1~ ] 4월 1일부터 전국 어디서든 주민등록지와 상관없이 사회보장여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본래 사회보장급여 방문신청을 하기 위해서는 주민등록 관할 주민센터를 방문해야 했는데요. 이제는 주민등록 주소지 뿐만 아니라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 주민센터에서도 복지급여·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도록 했으며 신청할 수 있는 급여의 범위를 점차 확대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 목적 - 전국 어디서든 주민등록지와 상관없이 사회보장급여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함. ◾ 실거주지 신청 대상 급여 👉 실거주지 신청 기시행 (13개, 2024년 1월 25일~) - 영유아보육료지원, 가정양육수당, 유아학비, 아이돌봄서비스, 부모급여, 아동수당,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장애수당, 장제급여, 해산급여, 긴급복지, 장애아동수당 👉 실거주.. 2024. 4. 3. 2024년 기준 중위소득 복지서비스 대상 선정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로 인상됐어요! 4인 가족 기준 5,729,913원 ❶ 기준 중위소득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으로,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 ❷ 2024년 기준 중위소득 (1인) 2,228,445원 (2인) 3,682,609원 (3인) 4,714,657원 (4인) 5,729,913원 (5인) 6,695,735원 (6인) 7,618,369원 많은 분들이 정책공감 블로그에서 궁금해하시는 생계급여 지원금,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을 기반으로 지원대상을 선정하는데요. 2024년 생계급여가 역대 최대로 오릅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 인상에 이어 생계급여도 역대 최대로 오릅니다. 어려운 분들에게 힘이 될... blog.naver.c.. 2024. 1. 9. 생계지원금 역대 최대 인상 (1/1~ ) 1월 1일부터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지원금을 역대 최대 수준으로 인상합니다. 2024년도 생계급여 지원기준은 4인 가구 기준 작년 대비 13.15% 인상되었는데요. 이는 기준 중위소득 인상과 생계급여 선정기준 상향이 함께 반영된 결과입니다. [주요 내용] ◾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역대 최대 인상 - 1인 가구 기준 71만 3,102원(14.4% 인상) - 4인 가구 기준 183만 3,572원(13.16% 인상) ◾ 2024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15년 이후 역대 최고 증가율로 결정 - 1인 가구 기준 222만 8,445원(7.25% 인상) - 4인 가구 기준 572만 9,913원(6.09% 인상) ◾ 2024년도 생계급여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의 30%에서 32%로 상향 ✔ 2023년도 및 2.. 2024. 1. 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