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51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진료비 3,000만 원까지 상향]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진료비 3,000만 원까지 상향]❶ 지원대상 - 의약품 부작용으로 질병이나 장애가 생긴 사람 및 사망한 사람의 유족 ❷ 지원내용 - 진료비, 사망일시보험금, 장애일시보상금, 장례비 ❸ 신청방법 - 의약품안전나라 피해구제 민원신청 - 의약품부작용피해구제팀 우편 신청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는  의약품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사망, 장애, 질병 등 큰 피해를 볼 경우 환자나 유가족에게 피해구제금을 드리는 제도입니다.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는 지난 10년간 총 1,035건, 약 164억 원의 보상금을 피해환자나 유가족에게 전달해 왔는데요.  2024년 12월 6일부터 환자에게 실질적인 보상이 될 수 있도록 진료비 상한액을 2,000만 원에서 3,000만 원으로 올렸습니다.  .. 2024. 12. 28.
웹사이트 회원탈퇴 서비스 ❶ 서비스 내용 이용하지 않는 웹사이트 회원탈퇴를 대신해 주는 서비스  ❷ 이용방법 개인정보 포털 누리집에서 웹사이트 회원 탈퇴 신청​ ​'웹사이트 회원탈퇴 서비스'는  명의도용이 의심되거나 더 이상 이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웹사이트에 대한 회원 탈퇴를 대신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아이디·비밀번호도 기억나지 않는 웹사이트들을 하나하나 방문하지 않아도 개인정보 포털에서 한번에 탈퇴할 수 있습니다.  내 정보에 대한 권리를 행사하는 '웹사이트 회원탈퇴 서비스'에 대해 쉽고 자세히 알려드려요! ​ ❶ 서비스 내용 웹사이트 회원 탈퇴를 대신해 주는 서비스웹사이트 회원가입을 위해서는 본인확인 절차를 거치는데요.  본인인증 기록을 바탕으로 내 이름으로 가입된 웹사이트를 조회하고 한 번에 회원탈퇴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4. 12. 27.
임금채권보장제도, 간이대지급금 [임금, 퇴직금 최대 1,000만 원까지 지급] 임금채권보장제도(간이대지급금), 받지 못한 임금 국가가 사업주 대신 지급합니다.❶ 지원대상 - 사업장에서 임금 등을 지급받지 못하고 재직중이거나 또는 퇴직한 근로자 ❷ 지원내용 - 퇴직자 최대 1,000만 원 지원 - 재직자 최대 7,00만 원 지원 ❸ 신청방법 ① 체불임금등·사업주 확인서 발급 또는 소송을 통한 확정판결 ② 근로복지공단에 간이대지급금 청구 ​'임금채권보장제도'는  재직, 퇴직한 근로자가 받지 못한 임금을 국가가 사업주 대신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임금체불은 흔히 발생하는 근로자의 노동 권리 침해입니다.  근로자들이 사업주를 상대로 체불 임금을 받을 방법이 있는데요. 임금체불이 확인된 퇴직자 또는 저소득 재직자라면 임금채권보장제도 간이대지급금을 통해 국가로부터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4. 12. 20.
긴급돌봄 서비스 긴급돌봄 서비스, 질병·부상·주 보호자의 부재 시 찾아가 도움을 드립니다.❶ 지원대상 주돌봄자의 부재, 질병, 사고 등으로 혼자 일상생활이 어려운 상황 ❷ 지원내용 요양보호사가 집으로 방문해서 기본 돌봄, 가사, 이동 지원 서비스 제공 ❸ 신청방법 보건복지부 콜센터, 사회서비스원 등에 전화상담 후  읍·면·동 주민센터에 서비스 신청 ​'긴급돌봄 서비스'은  질병, 부상, 주돌봄자의 부재로 인해 일상 생활을 혼자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돌봄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갑작스레 수술을 한 후 퇴원한 청년도, 자신을 돌봐주던 자녀가 입원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도 모두! 소득수준에 관계 없이 돌봄이 필요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데요. 누구나 필요할 때 누릴 수 있는 '긴급돌봄 서비스'에 대해 쉽.. 2024.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