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일부터 K-패스 시행! 대중교통비 20~53% 환급받는 방법!
❶ 서비스 내용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대중교통비 20~53% 환급
❷ 서비스 신청
(신규) K-패스 ①카드발급 ②회원가입
(기존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 ▶ K-패스 회원 전환
5월 1일부터 'K-패스'가 시행됩니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최대 60회까지 지출금액의 20~53%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가 K-패스로 변신하여 더욱 큰 혜택을 제공하는데요.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는 이동거리에 비례한 마일리지 환급 방식이었는데 K-패스는 이용횟수에 따라 교통비 일부를 환급해 드립니다.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고 있다면 카드 신규발급 없이 K-패스로 갈아탈 수 있으니 6월 30일까지 꼭! 전환 신청하세요~
교통비 걱정 PASS 할 수 있는 'K-패스'에 대해 쉽고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❶ 서비스 내용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대중교통비 20~53% 환급
대중교통비로 한 달에 7만 원을 지출한다면 일반인은 월 14,000 원, 청년은 월 21,000 원, 저소득층은 월 37,000 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환급금은 카드 종류에 따라 현금, 카드공제, 마일리지 형태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이용 범위]
✔ 대중교통 범위
- 시내·마을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A
* 시외(고속, 공항)버스, KTX, SRT 등 별도 발권 및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음
✔ K-패스 이용지역
- 전국에서 이용 가능
- 강원, 전라, 경상북도 일부 지역* 제외
* (전라권)김제, 고창, 부안, 진안, 무조, 장수, 임실, 순창, 고흥, 화순, 영암, 영광, 곡성, 구례, 보성, 장흥, 강진, 함평, 완도, 진도
(경상권) 문경, 예천, 의성, 청송,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봉화, 울진, 울릉
(강원) 속초, 평창, 정선,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혜택 및 환급기준]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 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도 환급비용 지급
* 첫 달 이후부터는 15회 이상 이용 시에만 지급
✔ 대중교통비 지출금액의 20~53%를
- 일반, 청년, 저소득층에 따라 환급비율 책정
✔ 최대 월 60회까지 환급
- 60회 이상 이용 시 적립금이 많은 순으로 60회에 대한 환급 비용 지급
[환급방식]
👉 현금/카드공제/마일리지 형태로 환급
✔ 체크카드
- 카드와 연결된 계좌로 적립액 환급
✔ 신용카드
- 익월 결제대금에서 적립액만큼 자동 차감
✔ 선불형 충전식 카드
- 해당 카드사의 앱에서 적립액만큼 다시 충전 가능
❷ 서비스 신청
(신규)K-패스 ①카드발급 ②회원가입
(기존)알뜰교통카드 ▶ K-패스 회원 전환
신규가입자라면 원하는 카드사에서 카드 발급 후 K-패스 누리집 또는 앱에서 신규 회원가입을 해야 합니다.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고 있다면 6월 30일까지 K-패스 회원으로 전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용방법]
신규 회원가입자
👉 카드 신규발급 후 K-패스 누리집·앱에서 회원가입 후 이용
① 원하는 카드사의 개별 누리집에서 K-패스 카드 신규 발급 신청
② K-패스 누리집 또는 앱에서 신규 회원가입
K-패스 누리집 ▽
K-패스
K-패스 어플리케이션
alcard.kr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 *6월 30일까지* 알뜰교통카드 누리집에서 K-패스로 회원 전환
① 알뜰교통카드 누리집 또는 앱 [K-패스] 메뉴에서 회원 전환
② K-패스 앱으로 업데이트 후 알뜰교통카드 계정으로 로그인
③ 로그인 후 교통카드 사용 시 자동 적립
*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는 4월 30일까지 이용내역 적용 가능
알뜰교통카드 누리집 ▽
K-패스
K-패스 어플리케이션
alcard.kr
[문의]
K-패스 고객센터 ☎031-427-4415
본 포스팅은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알뜰교통카드로 K-패스 혜택 받으세요('24.3.22.)』, 『24일부터 K-패스 카드 발급 받으세요!('24.4.22.)』. 『5.1일부터 대중교통비 20~53% 환급, K-패스로 교통비 걱정 패스!('24.5.1.)』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정부 대표 블로그 정책공감]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5/1 ~ 5/21] (2) | 2024.05.03 |
---|---|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 [고용보험, 국민연금 보험료 80% 지원] (0) | 2024.05.02 |
정신건강 진단 서비스 (0) | 2024.04.29 |
탄소중립포인트제 녹색생활 실천 [연 최대 7만원 인센티브 제공] (2) | 2024.04.23 |
장애인 건강(치과)주치의 시범사업 (0) | 2024.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