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월 1일부터 생계급여 지급액을 확대합니다.
윤석열 정부의 '저소득층에 촘촘하고 두텁게 지원한다'는 정책 기조에 따라 생계급여와 같은 급여별 선정기준 등에 활용되는 기준 중위소득*이 맞춤형 급여 개편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인 5.47%(4인 가구 기준)로 인상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정부 복지 지원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되는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합니다.
[주요 내용]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 폭 인상 (2022년 기준 중위소득보다 5.47% 인상)
예) 4인 가구 소득이 4,000,000원일 경우
👉 기준 중위소득 대비 80% 이내에 해당합니다.
중앙생활보장위원회에서는 2023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함께 2023년도 각 급여별 선정 기준 및 최저보장 수준도 확정했습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및 급여별 선정기준 자세히 보기>
2023년 기준 중위소득표
2023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됩니다! ❶ 기준 중위소득이란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 정부 복지 지원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 ❷ 2023년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1인) 207만 7,892
treasure01.tistory.com
[출처: 대한민국정부 대표 블로그 정책공감]
728x90
반응형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최저임금 9,620원 시행 (1/1~ ) (0) | 2023.01.03 |
---|---|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재산기준 완화 (1/1~ ) (0) | 2023.01.03 |
군인(병사) 봉급 월급 인상 (1/1~ ) (0) | 2023.01.02 |
알뜰교통카드 저소득층·청년층 혜택 강화 (1/1~ ) (0) | 2023.01.02 |
2023년 부모급여 영아수당 (만0세, 만1세) (0) | 2022.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