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원2

공공시설 48곳 예식장으로 추가 개방 [7/1 ~ ] 7월 1일부터 예식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 48곳을 추가 개방합니다. 예비부부들이 개성을 담은 특별한 결혼식을 올릴 수 있도록 박물관, 미술관, 국립공원 등을  예식공간으로 제공하고 있는데요.  청년이 원하는 공간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2027년 말까지 200개소 이상의 예식공간을 개방할 예정입니다.  ​ [주요 내용]◾ 지자체·공공기관 보유 시설을 예식공간으로 제공 ✔ 예식공간 48개소 추가 개방 - 기존 91개소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공원 야외공원 등 48개소 추가 개방 (국립시설 6개소, 공공기관 35개소, 지자체 98개소) ✔  2027년 말까지 200개소 이상 개방 예정 ​ ◾ '공유누리'에서 공공예식장 검색·예약 ✔ 공유누리 플랫폼이란? - 행정공공기관의 유휴 시설·물.. 2024. 7. 4.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국내도서 저자 : 유현준 출판 : 을유문화사 2015.03.25 상세보기 왜 어떤 거리는 걷고 싶은가 다시 걷더라도 새로운 체험을 할 가능성이 높은 곳 Ex) 명동 : 다양한 가게를 통한 새로운 체험 가능함 30평 주택 vs 100평 주상복합 30평 주택이 100평 주상복합 보ek 넓게 느껴지기도 한다. 마당의 변화 이벤트 + 추억 팬트 하우스가 비싼 이유 주변 경관, 조망 + 권력(자본주의, 모든 것을 내려다보고 본인은 안 보임)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Ex) 뉴욕 할렘가 20C초: 돈 많은 유대인이 사는 좋은 동네 -> 냉장고 발명 -> 유대인들 뉴저지 이동(교외 주택) 뉴욕시(1달러 100년 임대) 임대한 회사가 거리 전체 개발 -> 창의적으로 문제 해결 -> 또 하나의 새로.. 2020.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