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 산사태 발생하면, 반대 방향 높은 곳으로 대피하세요!
전 국토의 63%가 산지인 우리나라, 최근 집중호우로 인해 산사태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데요.
산사태는 발생하기 전에 전조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충분히 대처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안전한 여름을 위해 산사태 행동요령을 꼭 확인해 주세요.
❶ 산사태, 이렇게 대비하세요!
산사태를 막을 순 없지만 평소 대피를 통해 피할 수 있습니다.
[산사태 평소 대비]
1. 산사태 전조증상 미리 알아두기
✔ 땅이 울리며 산비탈에서 갑자기 많은 물이 샘솟을 때
✔ 바람이 불지 않는 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질 때
✔ 계곡의 상류에서 과도한 흙탕물이 밀려올 때
✔ 산비탈의 흙이 무너지거나 돌이 굴러 내려올 때
* 전조 현상 : 어떠한 일의 징조로 나타나는 현상
2. 집(주택,건물) 주변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 실내의 가스 및 전기 차단기 설치, 작동 여부 등을 미리 점검하기
✔ 집(주택, 건물) 주변에 담장·나무 등이 넘어질 위험이 있는지 점검하기
✔ 산과 가까이에 있는 집(주택, 건물)은 옹벽 및 배수로 등을 미리 설치하거나 점검하기
✔ 기타 위험요인이 발견되면 정비하거나 거주지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 등에 신고하
3. 위급한 상황에 대비하기
✔ 가족회의를 통해 비상 연락망과 대응 역할 결정하기
✔ 대피(피난) 할 장소와 경로를 미리 확인하기
✔ 응급처치 방법 등을 미리 숙지하기
✔ 스마트폰에 산사태 예보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산림재난’ 앱 미리 설치하기
4. 비상용품 미리 준비하기
✔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해 두기 (비상식품, 구급약품, 생활용품 등)
✔ 비상용품 보관 장소와 사용방법 등 알아두기
이것도 알고 가세요!
스마트산림재난 앱
산지 인근에 살고 있다면 스마트폰에 '스마트산림재난' 앱을 설치하세요!
👉 전국 산사태예보 현황
- 전국, 현위치의 산사태 예보 확인
👉 산사태 행동요령
- 국민행동요령을 숙지하여 비상상황에 대비
👉 산사태 취약지역대피소 확인
- 현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대피소 미리 확인
👉 산림재난 신고하기
- 실시간 위험상황과 위치를 즉시 전송
❷ 산사태 발생 시, 이렇게 행동하세요!
산사태가 발생하면 당황하지 말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세요.
[장소별 행동요령]
1. 집에서(산지 인접 주택에서) 이렇게 행동하세요.
✔ 대피 방송이 안내되지 않은 경우 가급적 집에 머무르며 이웃 주민과 수시로 연락하기
✔ 대피 방송이 안내된 경우 대피 전에 가스·전기를 차단한 후 안내 장소로 이동하기
✔ 혹시 대피 못했을 옆집을 확인하고 위험 상황 알리기
✔ 토사 유입의 우려가 있는 지하주차장 접근 자제
✔ 대피 이동 중에는 고압전선 인근 접근 자제
✔ 하천·계류를 건너야 하는 등 위험한 경우 무리하지 말고 인근의 튼튼한 건물 등으로 이동
✔ 대피할 수 없어 건물 안에 머무는 경우 가능한 건물에서 가장 높은 층, 산과 멀리 있는 공간으로 대피하고, 몸을 움츠려 머리를 보호
✔ 고립 시 소방서(☎119)에 구조를 요청하거나 통신이 불안정할 경우에는 소리 지르기, 호루라기 불기, 물건 두드리기 등으로 구조 요청
2. 야영(캠핑) 중에는 이렇게 행동하세요.
✔ 야영(캠핑)을 멈추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기
✔ 대피를 위해 하천·계류 등을 건너야 할 경우 무리하지 말고, 계곡에서 떨어진 높은 언덕에서 구조를 요청하기
3. 산행 중에는 이렇게 행동하세요.
✔ 산행을 멈추고, 산지와 먼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
✔ 옷장이나 사무실 보관함 등의 내용물이 쏟아져 내려 부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문을 열 때 주의하기
✔ 계곡부 등 산사태 피해 경로 밖으로 대피하며, 산사태 발생 방향과 가장 멀고 높은 곳으로 이동하기
✔ 대피할 때 산사태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의 가장 가까운 높은 곳으로 대피하기
✔ 고립되었을 경우 소방서(119)에 구조를 요청하거나 통신이 불안정할 경우에는 높은 언덕으로 올라가 소리 지르기, 옷가지 흔들기 등으로 구조를 요청
4. 운전 중에는 이렇게 행동하세요.
✔ 저속 운행하고 안전거리 확보하기
✔ 산사태 위험 구간을 우회하여 신속히 빠져나가기
✔ 신호등, 가로등, 고압전선 인근으로 접근 자제하기
[산사태 발생 후 행동요령]
1. 매몰자나 부상자가 있는지 살피기
✔ 매몰자, 행방불명자가 있다면, 경찰서, 소방서에 신고
✔ 부상자는 즉시 응급처치하고 구급차량을 통해 인근 병원으로 후송
2. 산사태 발생 확인 시, 즉시 신고하기
산사태 관련 신고▽
- 소방서 ☎119
- 해당 시·군·구 재난안전대책본부 또는 행정복지센터
- 중앙산림재난상황실 ☎042-481-4119
- '스마트산림재난' 앱을 통한 신고
3. 주변 상황을 예의주시하기
✔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 및 인근 지역에서 추가적인 산사태 발생 가능
✔ 산사태 피해 발생 지역으로 접근하지 않기
4. 주변의 피해 상황에 따라 귀가 여부 결정하기
✔ 거주지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 등의 안내를 받아 행동하기
✔ 집과 주변의 이상 유무에 따라 귀가 여부 판단하기
✔ 산사태가 발생하여 집(주택, 건물)에 피해가 있다면 거주지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 등에서 마련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기
✔ 피해가 없더라도 추가 산사태가 우려될 경우에는 거주지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의 지시에 따르기
5. 추가 피해가 발행할 우려가 있는지 살피기
✔ 집(주택, 건물) 주변 및 공공시설(도로, 산지) 등에 추가 피해가 우려될 경우 거주지 시·군·구청 및 행정복지센터 등에 신고하기
산사태 국민행동요령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산사태 정보시스템, 국민재난안전포털 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산사태정보시스템▽
산사태정보시스템 | 산림청
산사태방지과 전화 : 042-481-1844(정책관련문의), 042-481-8848(시스템관련문의) 팩스 : 042-472-3223 대표전화 : 1588-3249 COPYRIGHT © 2016 산림청. ALL RIGHTS RESERVED.
sansatai.forest.go.kr
국민재난안전포털 ▽
국민재난안전포털
www.safekorea.go.kr
스마트산림재난 앱 ▽
Google Play
스마트산림재난 - Android 앱 Google Play
수백만 개의 최신 Android 앱, 게임, 음악, 영화, TV 프로그램, 도서, 잡지 등을 즐기세요. 기기 간에 공유되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습니다.
play.google.com
App Store
스마트산림재난
- 국민이 참여하여 산림을 보호 할 수 있도록 산림 재난신고 서비스 기능 제공. - 신고 기능이외에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산악기상 정보, 산사태 예측정보, 재난행동 요령, 산림훼손 관
apps.apple.com
본 포스팅은 국민재난안전포털과 산사태정보시스템 등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정부 대표 블로그 정책공감]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죄피해자 원스톱 솔루션 센터 (0) | 2024.07.31 |
---|---|
히어로즈 카드 [청년 제대군인 맞춤형] (0) | 2024.07.31 |
공공 예식공간 (3) | 2024.07.30 |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0) | 2024.07.18 |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 (0) | 2024.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