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3 공공 예식공간 미술관에서 결혼할래요? 공공 예식공간 48개 추가 개방❶ 서비스 내용 -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서 청년 맞춤형 예식공간 총 139곳 개방 ❷ 이용 방법 - '공유누리' 플랫폼에서 통합검색 및 예약 - 예식공간 테마지도 서비스 제공 예비부부들이 결혼비용 부담을 덜면서 개성을 담은 결혼식을 올릴 수 있도록 공공시설을 예식공간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4년 7월부터 박물관, 미술관, 국립공원 등 청년이 선호하는 예식공간 48곳을 추가 개방, '공유누리'를 통해 조회·예약할 수 있습니다. 두 사람의 희망찬 발돋움, '공공 예식공간'에서 시작하세요! ❶ 서비스 내용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서 청년 맞춤형 예식공간 제공 지자체, 공공기관의 보유시설을 예식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 예식공간.. 2024. 7. 30. 공공시설 48곳 예식장으로 추가 개방 [7/1 ~ ] 7월 1일부터 예식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 48곳을 추가 개방합니다. 예비부부들이 개성을 담은 특별한 결혼식을 올릴 수 있도록 박물관, 미술관, 국립공원 등을 예식공간으로 제공하고 있는데요. 청년이 원하는 공간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2027년 말까지 200개소 이상의 예식공간을 개방할 예정입니다. [주요 내용]◾ 지자체·공공기관 보유 시설을 예식공간으로 제공 ✔ 예식공간 48개소 추가 개방 - 기존 91개소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공원 야외공원 등 48개소 추가 개방 (국립시설 6개소, 공공기관 35개소, 지자체 98개소) ✔ 2027년 말까지 200개소 이상 개방 예정 ◾ '공유누리'에서 공공예식장 검색·예약 ✔ 공유누리 플랫폼이란? - 행정공공기관의 유휴 시설·물.. 2024. 7. 4. [Q&A] 단계적 일상회복 방역수칙_식당·카페·결혼식장 등 다중이용시설 방역수칙 단계적 일상회복, 어떻게 지켜야 할까? 지난 11월 1일(월), 단계적 일상회복 1차 개편 시행에 따라 방역조치들이 이전과 달라졌습니다. ‘사적모임’, ‘다중이용시설’, ‘접종증명·음성확인제’ 등 상황별·장소별 방역조치에 대한 자세한 궁금증들을 모아봤습니다. 4탄 오늘은 식당·카페·결혼식장 등 다중이용시설 방역수칙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Q1 시설의 방역수칙과 이용 가능 인원은 어디에 게시하나요? 시설 방역수칙은 종사자와 이용자들이 잘 볼 수 있도록 벽면 등에 부착해 안내해야 합니다. 시설별 이용가능 인원은 출입구에 부착해 이용자들이 이용가능 인원을 확인하고 시설에 출입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Q2 백신 접종자도 다중이용시설 이용 제한이 있나요? 백신 접종 완료자도 다중이용시설 이용 시 사적모임.. 2021. 11. 19. 이전 1 다음